詩・画・談 Fine Dining

シ ファ ダン ファインダイニング

시화담 Fine Dining

 0/0人  |  人気指数 1,475

お気に入りに追加:1
トラベルノートページへ戻る

基本紹介編集履歴

2/4

詩と絵、そして物語のあるモダンコリアンFine Dining 詩・画・談

韓国料理の世界化を目指してオープンした「詩・画・談」。「詩・画・談 Fine Dining」はギャラリーを連想させるような洗練された外観と博物館のような品格のあるインテリア、そして韓国の文化と芸術が込められた料理が調和した、特別な外食空間になっています。

最高の味と趣があり、楽しい想像とおしゃべりができるところ、モダンコリアンFine Dining「詩・画・談」はお客様の時間を輝かせる最良の選択となるでしょう。

「詩・画・談」には詩があります。詩人は一編の詩を書く為に一生を捧げるそうです。「詩・画・談」での時間が一編の詩のように、お客様の心に残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という思いを込め、そのような詩をダイニングにも取り入れています。長年の友のようにリラックスできて暖かい場所、いつ訪れても友好的な空間、一杯のお茶と余裕がお客様の時間をより一層意味のあるものにするでしょう。

시와 그림 간에 한국의 미를 감수하다

시화담 파인다이닝은 우아하고 예술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조용하고 편안한 공간이다.

 

여기저기 보이는 그림이나 도자기, 또한 음식을 담는 그릇조차 유명한 예술가의 솜씨다. 외국인에게 생소한 이름들이지만 그들의 작품으로 그들과 대화 할 수 있을 것 같다.

정성을 드려 만든 음식

시화담파인다이닝의 음식은 그저 아름답다. 요리도, 그릇도,심지어 요리이름도 아름답다.
 

메뉴추천

 

밀이 익어 가는 풍경----흙과 태양과 바람이 우리를 키운다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던 한 시인의 고백처럼 산들 부는 바람에 밀이 일제히 몸을 뉘었다 바로 섰다 다시 뉘었다 바로 서는 밀밭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 강한 생명력이 느껴져 주먹이 불끈 쥐어진다. ‘밀이 익어 가는 풍경’은 바로 이러한 생명의 의지가 가득한 대지의 한 장면을 화폭에 고스란히 옮긴 풍경화. 뜨거운 태양은 김치, 익어 가는 밀은 참깨를 듬뿍 묻힌 영양 부추로, 대지는 양념을 한 돼지고기구이로 그리고 돌은 구운 마늘로 표현하였다. 돌 틈 사이사이 피어 있는 것들은 당귀와 로즈메리꽃 등으로 부추와 돼지고기에 곁들여 먹으면 향과 맛이 잘 어울린다. 같은 태양 아래 같이 자라는 우리 모두는 다 함께 평등하다.

 

 

봄의 주전부리----나만의 빛깔과 향기로 단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은 마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김춘수 ‘꽃’) 모든 것이 소생하는 봄, 설레는 마음을 안고 나는 오늘 누구의 이름을 부르게 될까.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줄까. 나만의 빛깔과 향기로 오직 단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은 마음. 이 봄엔 결코 잊혀지지 않는 의미, 꽃이 되고 싶다. ‘봄의 주전부리’는 말린 계절 과일과 야채 칩을 접시에 담아 김춘수 님의 시 한 구절을 슈거파우더 아트기법으로 곁들인 메뉴로, 시화詩畵를 한 점 감상하는 정서를 준다.

 

 

코리안 런치박스----그 옛날 선비들은 무엇을 먹었을까?

서양의 샌드위치를 한국식으로 만든 요리. 샌드위치에 흔히 사용하는 식빵 대신 멥쌀가루에 막걸리를 넣고 발효시켜 찐 증편을 사용하여 부드럽고 쫄깃하면서도 달달한 식감을 냈다. 증편 사이에는 야채와 불고기를 적당히 넣어 영양과 맛의 조화를 이루었으며 식용유와 첨가물이 많이 들어간 마요네즈 대신 잣즙으로 소스를 만들어 웰빙 요소도 갖추었다. ‘코리안 런치박스’라는 이름에 걸맞게 종이와 먹, 벼루 등 선비의 가장 친한 벗을 함께 스타일링해 내놓아 그 옛날 우리 조상들이 글월을 읊다 허기진 배를 살짝 속이기 위해 한입 베어 문 음식의 정취를 상상해 볼 수 있다. 설탕이 많이 든 서양의 일반적인 피클 대신 저염으로 발효시킨 우리나라의 전통 오이지를 함께 내어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하였다.

 

 

김치가 파스타를 만났을 때----발효음식과 블랙푸드의 환상적인 만남

한국인의 지혜가 가장 잘 담긴 음식인 김치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도 잘 먹을 수 있게 만든 요리이다. 오징어 먹물을 넣어 반죽한 면에 김치를 넣은 크림소스를 얹은 파스타는 느끼한 맛이 전혀 없이 굉장히 고소하면서도 담백하고 깔끔한 맛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음식 특유의 맵고 짠 맛을 좋아하지 않는 서양인들도 엄지손가락을 들고 ‘원더풀’을 외칠 정도로 사랑받는 메뉴. 발효음식과 블랙푸드의 만남으로, 건강에 좋은 것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전 세계인이 좋아하는 음식이지만 삿갓 모양의 옹기로 빚은 도자기에 담아 한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염전에 흩날리는 바람, 꽃소금을 그릇에 담다----바다의 에너지, 소금으로 함축된다

바닷물이 열 말이면 소금 한 되가 된다. 작열하는 뙤약볕 아래, 한 줌의 소금을 얻기 위해 한시도 키질을 멈추지 않는 염부들은 소금을 얻는 과정을 ‘소금이 온다’ 혹은 ‘소금꽃이 핀다’고 표현한다. 소금 채취는 인간의 노력 여하에 달린 일이 아니라 자연이 결정할 일이라는 것이다. ‘염전에 흩날리는 바람, 꽃소금을 그릇에 담다’는 이처럼 바닷가 천일염전의 숭고한 풍광을 고스란히 그릇에 옮긴 메뉴로, 바라보기만 해도 바다의 짭조름한 내음을 흠뻑 맡을 수 있다. 염전에 바람이 불면 제일 가벼운 소금입자들이 떠올라 바람과 함께 움직이게 되는데 바로 이 소금을 ‘바람소금’ 또는 ‘꽃소금’이라고 한다. ‘염전에 흩날리는 바람, 꽃소금을 그릇에 담다’는 우리나라의 신안토판염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개발한 메뉴인데, 신안토판염은 세계 최고의 소금으로 일컬어지며 ‘소금의 꽃’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프랑스의 ‘플뢰르 드 셀Fleur de sel’보다도 훨씬 더 깊은 맛이 나면서도 미네랄 함량이 풍부하다. 신안토판염은 그야말로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소리가 절로 나올 정도로 자랑스러운 소금인 것이다. 요리는 궁중에서 임금님이 에피타이저로 즐기던 대하잣즙냉채를 화가 마티스의 강렬한 컬러를 가진 야채들을 사용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했으며 먹기 좋도록 스푼에 담아 모던함을 더했다. 음식을 담아낸 도자기 또한 염부들이 소금을 긁은 자국과 발자국 그리고 소금입자 등을 연상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예술이 충만한 공간

写真説明

시화담 파인다이닝에서 식사하는 것은 시와 그림의 세계를 들어가는 것이다. 여기서 어떤 이야기 꽃을 피워질까?

アクセス方法

1. 地下鉄6号線「緑莎坪(ノクサピョン)」駅2番出口を出る。
2. 約100M直進すると、経理団通り入口があります。
3. 地下歩道で反対側へ渡り、経理団通りを約800M道なりに進むと「詩・画・談 Fine Dining」です。
  • 緑莎坪2番出口
  • 経理団通り入口
  • 詩・画・談 Fine Dining

他店舗情報

詩・画・談 Fine Dining:地下鉄6号線「緑莎坪」駅2番出口

詩・画・談 Grill:地下鉄6号線「漢江鎮」駅3番出口

詩・画・談 Bistro:地下鉄6号線「漢江鎮」駅3番出口

神仙ソルロンタン梨泰院本店):地下鉄6号線「漢江鎮」駅3番出口

神仙ソルロンタン(明洞店):地下鉄4号線「明洞」駅8番出口

神仙ソルロンタン仁寺洞店):地下鉄1号線「鐘閣」駅3番出口

神仙ソルロンタン弘大店):地下鉄2号線「弘大入口」駅9番出口

最近見た記事
一覧見る